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갚아도 끝이 보이지 않는 가계 빚” 작년 말 가계 빚 1886조원으로 '역대 최대' 기록

by 0Andrew0 2024. 2. 20.
  • 주담대 잔액 15.2조원 증가 "서울 입주 물량 증가세 영향"
  • 카드 미결제액 1.5조원 증가 "연말 신용카드 사용 증가"

 
연말 카드 사용 증가 등의 영향으로 작년 우리나가 가계 빚(신용)1886조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2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 4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가계신용(가계대출+판매신용) 잔액은 18864000억원으로, 기존 역대 기록이었던 지난해 3분기(9월 말 기준 18783000억원)보다 8조원이 늘어 3분기 연속 증가했습니다. 금리 인상 등 정부의 통화 긴축 영향 등으로 가계신용의 증가세가 발생했다고 파악됩니다.
다만, 증가폭은 직전 3분기의 17조원 증가에 비해 절반 수준을 보였으며, 1년 전과 비교해서는 188000억원이 늘어 3분기(72000억원)에 이어 증가폭이 확대되었습니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 보험사, 대부업체, 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카드, 할부금융사의 외상판매인 판매신용까지 합친 '포괄적 가계 부채'를 말합니다. 작년 4분기 말 가계신용 중 판매신용(카드 대금)을 제외한 잔액은 17683000억원으로 직전 분기(17617000억원) 대비 65000억원(0.4%)이 늘어 3분기 연속 증가했습니다.
, 증가폭은 직전 3분기(144000억원)에 비해 크게 둔화되었으며 1년 전과 비교해보면 184000억원이 늘어 3분기(5조원) 대비 증가폭이 크게 늘어났습니다.
 
특히 주담대(주택담보대출) 잔액은 152000억원이 급증한 10643000억원을 기록하며 직전 분기에 이어 최대 기록을 한번 더 경신했습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서정석 한국은행 금융통계팀장은 "서울 입주 물량이 전년도 4분기에 몰렸기 때문이다"라며 "지난해 연간 가계대출 증가 폭(184000억원)은 전반적 주택 거래 부진 등의 영향으로 2022(-7조원)을 제외하면 2003년 통계작성 이래 가장 작았다"라고 전달했습니다.
 
신용대출, 마이너스 통장 등 기타 대출은 7039000억원으로 직전 3분기 대비 87000억원이 줄어 9개 분기 연속 감소세를 유지했습니다.
 
서 팀장은 "지난해 4분기 가계대출이 65000억원 늘었지만 증가 폭은 3분기 144000억원보다 줄었다" "특례보금자리론 등 정책 모기지(담보대출) 공급 속도 조절과 50년 만기 대출 상품 판매 제한 등의 영향"이라고 설명했으며, 신생아 특례대출과 관련해서는 "지난달 29일 시행된 뒤 현재까지 상황을 보자면, 대환(갈아타기) 용도가 대부분이라 특례보금자리론과 비교해 가계대출 증가에 미치는 영향은 작은 것 같다"고 분석했습니다.